시설물배치도
- 1음식물 반입동
- 2음식물 처리동
- 3발효동
- 4후숙동
- 5선별 및 제품저장
- 6수처리시설
- 7달취시설
주요설비
-
-
- 계근대
- 운반차량에 의하여 반입된 쓰레기는 자동계량되어 기록됩니다.
-
-
- 투입호퍼
- 저장된 자동개폐장치 및 이송콘베어로 구성되며 처리량 조절이 가능합니다.
-
-
- 1차 파쇄 및 희석 교반
- 입경 25mm 이하로 파쇄 및 이물질 선별 염분 및 유해물 세척제거,침사류(골편, 유리편, 금속편)의 제거가 가능합니다.
-
-
- 협잡물제거
- 트롬멜 스크린으로 비닐 및 협잡물을 제거합니다.
-
-
- 2차 파쇄 및 압축 탈수
- 입경 15mm 이하로 파쇄 및 쌍스크류형태의 고압 압축 탈수를 하며 탈수 함수율은 65%정도 입니다.
-
-
- 발효조
- 전처리 과정을 거친 음식물 쓰레기는 자동낙하 및 회전식 스크레퍼에 의한 교반장치로 구성된 발효조에서 15일간 적정 습도, 온도 및 공기를 공급하여 호기성 발효인자를 활성화시켜 최적의 퇴비화조건을 만들어 줍니다.
-
-
- 후숙조
- 발효공정을 거친 음식물 쓰레기는 발효교반기, 공기공급시설, 온도저절시설, 배기장치로 구성된 후숙조에서 21일간 발효숙성기간을 거쳐 양질의 퇴비로 생산됩니다.
-
-
- 퇴비선별시설
- 드럼스크린 방식으로 이물질의 최종선별 및 퇴비 입도의 균일화를 시킵니다.
-
-
- 퇴비저장시설
- 정선된 퇴비를 일시 보관 계량하여 상차 및 반출합니다.
-
-
- 원심분리기
- 탈리액 저장조의 액상유기물을 고속회전의 원심분리 방법으로 탈수 시킵니다.
-
-
- 수처리 시설
- 가압부상 및 탈수기를 이용하여 처리공정중 발생한 침출수를 처리 합니다.
-
-
- 건조기
- 건조기는 끓임·농축·건조과정을 거치면서 모든 병원성 세균 등을 살균처리하며 1시간 이내에 함수율 15%이내의 건조품이 배출 되어집니다.
설비계통도
전처리+퇴비화 공정
사료화공정
설비특징
부상분리형 희석교반조(구조적 특징)
구조적 특징 비교
항목 | 본기술 | 일반적인 교반기 |
---|---|---|
임펠러 | 원통형 Shaft에 사선형 날개 Type | 환봉 Shaft에 프로펠러형날개 Type |
하부구조 | Cyclone Type | 평면 Type |
이물질 배출설비 | 스크류 콘베어와 결합된 일체형 구조로 운전중 연속 배출 | 개폐식 Gate와 결합된 구조로 기계정지후 단속배출 |
스크류 탈수기(구조적 특징)
구조적 특징 비교
항목 | 본기술 | 타 기술 |
---|---|---|
배출설비 | 기동형 스크류 부착 | 배출설비가 없거나 Pencile Type 고정 부착 |
내부구조 | 쌍 스크류 부착 | 단일 스크류 부착 |
내부 원통형 유공판 | 내부 부피가 점차 축소되는 구조 | "-" 자형 구조 |
탈수 단계 | 2단계 시스템 | 1단계 시스템 |
밀폐형 발효기
반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이물질을 선별하고 적정한 크기로 파쇄하여 약 75% 함수율로 탈수한 후 수분 조절제인 톱밥과 혼합시켜 발효시키기에 적정한 함수율인 72%로 조정하여 본 발효기로 투입한다. 투입된 퇴비원료는 호기성발효조건을 유지하며 2축의 교반기에 의해 연속적으로 교반을 실시하고 바닥으로는 공기를 공급하여 고온호기성발효가 50℃에서 3일이상 지속되어 세균, 기생충, 씨앗 발아를 소멸하고 발효 15일 후숙 21일 체류하여 퇴비가 생산된다.